<초기 영아기의 철 결핍증의 예방>
-철 결핍증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영양 결핍증으로 특히 영아와 아동에서 끊임없이 지속된다. 6~9개월 아동에서 높은 빈혈의 유병률은 일부 영아들에서 출생 시 저장된 철분이 생후 첫 6개월 동안 성장과 발달을 지속하기에 불충분하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모체의 철 영양상태, 영아의 출생 시 체중, 임신 나이와 출생 시 태아 제대 결찰 시기 등이 모두 출생 시 적절한 저장된 철 형성에 기여한다. 출생 후 수유 행위 및 성장 속도는 생후 첫 6개월 동안 얼마나 빨리 출생 시의 철이 고갈되는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들이다.
<연령별 빈혈 치료의 교육>
-혈액이 조직에 산소를 운반하려면 적절한 양의 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아동이 충분한 철을 섭취하지 않으면 신체는 저장된 철을 모두 소모해버린다. 저장된 철이 다 사용되면 아동은 허약 감, 보챔, 창백한 피부, 식욕부진, 빠른 맥박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철을 보충하는 것과 철분제제를 섭취하는 것은 몸의 철 저장량을 다시 채우도록 도와주고 조직에 적절한 산소가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연령별 식이 방법
*12개월 이하
-출생 후 4~6개월까지 영아에게 모유만 수유할 것을 권장한다.
-전적인 모유 수유가 중단되었을 때 대체식품을 통해 하루에 철을 1mg/kg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모유 수유 하지 않거나 부분 모유 수유 하는 영아에게는 철이 보충된 분유만을 모유 대체식품으로 권장한다.
-모유 수유 영아 중 6개월까지 철 보충 식이를 1mg/kg 이하로 섭취한 경우, 매일 1mg/kg의 철 시럽을 권장한다.
-미숙아나 저체중 신생아에서 모유 수유 동안에 1일 2~4mg/kg의 철(최대 15mg/일)을 출생 후 1개월부터 시작해서 12개월까지 지속하도록 권장한다.
-식이에 우유가 포함된 부분이 있으면 모유 또는 철 보충된 분유만을 권장한다.
-낮은 철 함유 우유의 사용은 피하도록 한다. (예> 산양유, 두유 등)
-4~6개월에는 1일 2회 이상의 철 강화 영아용 시리얼을 제공함으로써 영아의 철 필요량을 충족한다.
-약 6개월이 되면 철 흡수를 돕기 위해 비타민C가 풍부한 음식을 하루에 한 번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예> 과일, 주스 등)
-6개월 후 또는 영아가 발달적으로 고형음식을 섭취할 준비가 되었을 때 양념하지 않은 간 고기류를 권장한다.
*학령전기, 학령기 및 청소년기
-1~5세의 아동은 하루 700mL 이상의 우유, 산양유 또는 두유를 섭취하는 것을 피한다.
-철이 풍부한 음식의 섭취를 권장한다.
-산성 음식은 철제 주방 기구에서 조리하는 것을 권장한다.
-되도록 식사와 함께 철 흡수를 좋게 하는 비타민C가 풍부한 음식의 섭취를 증가시킨다.
*아동이 경구용 철 보충제 투여 시 알아둘 점
-처방된 양을 정확히 투여하도록 한다.
-사고로 인한 과다복용을 예방하기 위해 철 보충제는 안전한 곳에 넣고 잠가둔다.
-철 보충제의 흔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을 알고 식사 직후나 식사와 함께 약을 먹음으로써 피할 수 있다.
(경구 철분제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오심, 상복부의 불편감, 복통, 변비, 설사, 검은 변이 있고 비경구 철분제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국소 통증, 조직 착색, 두통, 가벼운 어지러움, 열, 관절통, 오심, 구토, 요통, 홍조, 두드러기, 기관지 경련, 드문 경우 아나필락시스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아동이 충분한 철 섭취 시 대변은 검은 녹색 빛을 띤다.
-변비가 있을 수 있으며 변 완화제 또는 설사제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액상 철제제는 치아를 착색시킬 수 있다. 빨대 사용이 가능하면 빨대로 섭취하게 한다.
-철 흡수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섭취 1시간 이전 또는 2시간 이후에 불소, 제산제, 커피, 차, 유제품, 계란, 통밀빵 주는 것을 피한다.
'아동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사고 예방 지침 (0) | 2022.06.24 |
---|---|
인간발달 이론(프로이트, 에릭슨, 설리번) (0) | 2022.06.09 |
철 결핍 빈혈의 치료1 (0) | 2022.06.08 |
천식 환자 간호 (0) | 2022.06.08 |
알레르기 비염(Allergic Rhinitis) 간호와 치료 (0) | 2022.06.08 |
댓글